
1. 진해 군항제 지도 전국민이 아는 진해 군항제 축제, 경북 산불로 인해 일부 프로그램이 축소되어 운영아래 진해군항제 지도에 벚꽃이 피어있는 스팟이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 후 방문, 이용 2. 경남 창원 벚꽃명소 남산공원, 도계체육공원, 늘푸른전당, 창원교육단지, 진해내수면환경생태공원, 가포 동백 벚꽃길이 있습니다. 남산공원경남 창원시 의창구 서상동 250늘푸른전당경참 창원시 성산구 두대로 97도계체육공운경남 창원시 의창구 도계두리길 199마산 가포 동백벚꽃길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로 589마산 의림사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고 382진해내수면생태환경공원경남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577-1창원교육단지경남 창원시 성산구 내동 교육단지사거리 3. 경남 창원 진해구 벚꽃 명소 진해 ..

1. 남이섬 입장권 비용 및 무료입장 안내 남이섬 들어가기전 차량 주차료는 4,000원에서 10,000원입니다. 상품정보(왕복 선박 이용료 포함)금 액25.3.17~25.6.30 이후 변동 가능1. 가족과 함께(성인 2인 + 어린이 1인)39,500원2. 둘이서 함께(성인 2인)29,500원3. 일반(성인 1인)16,000원4. 우대(중학생~고등학생 1인)13,000원5. 특별우대 어린이(36개월~초등학생 1인)10,000원※ 보호자 동반 유아(36개월 미만) 무료입장(유아 단체는 특별우대로 결제)※ 70세 이상, 국가유공자증(국가유공자유족증) 소지자 본인, 장애의 정도가 심한 중증 장애인(복지카드 소지자 본인) : 현장 매표 유인창구에서 우대혜택※ 단체 할인 : 일반입장객 20인 이상 ..

이번 글에서는 넷플릭스 드라마 애순이 시를 모아보았습니다. 딸 금명이 엄마를 위해 출판사에 엄마가 쓴 시를 보내게 되었고 폭싹 속았수다라는 시집을 발간하게 되는데요, 어린 애순, 중년 애순, 노년 애순의 시 모음을 살펴보겠습니다. 1. 개점복 폭싹 속았수다 1화 - 호로록 봄엄마와의 시간을 많이 보내고 싶은 어린 애순이 점복만 따는 엄마를 보고 개점복이라는 시를 씀애순이 엄마는 딸의 시를 보고 기특해하며 애순이를 집으로 데려와 키우게 됨개점복허구헌날 점복 점복.태풍와도 점복 점복.딸보다도 점복 점복.꼬르륵 들어가면 빨리나 나오지.어째 까무룩 소식이 없소,점복 못 봐 안 나오나,숨이 딸려 못 나오나,똘내미 속 다 타두룩내 어망 속 태우는고 놈의 개점복전복 팔아 버는 백환.내가 주고 어망 하루를..

자동차 매매, 상속 등에 따라 꼭 필요한 자동차세 완납증명서(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하는 방법과 필요서류를 알려드리고, 행정복지센터 등에 방문신청 시 필요한 신청서 서식까지 첨두해 두었으니 필요하신 분은 다운받아서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연 자동차세를 계산할 수 있는 자동차세 계산기 - 자동차365 사이트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자동차세 완납증명서 발급받기 - 지방세 납세증명서 ① 정부24 바로가기자동차세는 지방세로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정부24, 행정복지센터,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본인 또는 대리인(온라인은 대리인 신청 불가)이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부24 바로가기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 | 민원안내 및 신청 | 정부24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

이번 경북 산불에 따라 지원대책 종합안내서가 작성되어 피해주민들이 좀 더 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각 지원항목 별 지원기준 및 내용, 연락처,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분야별 직접지원 "생활안전, 구호, 의료비, 장례" - 4가지 생활안정지원 : 구호금(사망, 실종, 장해등급 별), 생계비, 주거비(전파, 반파, 세입자, 이주비), 구호비, 교육비(고등학생), 소상공인, 복구비항목지원대상지원금액구호금사망실종2,000만원장해1~7등급1,000만원장해 8~14등급500만원생계비주소득자 사망 실종 부상 또는 휴 폐업 실직① 1인 가구 730,500원② 2인 가구 1,205,000원③ 3인 가구 1,541,700원④ 4인 가구 1,872,700원※ 가구원수에 따른 차등 지급주생계수단 농·..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자신이 거주하지 않는 다른 지방자치단체(고향 또는 응원하고 싶은 지역)에 기부하면, 세액공제 혜택과 함께 지역 특산품(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지역 균형 발전과 지방 재정 확충을 목표로 합니다. 산불 특별재난지역에 기부하게 되면 피해지역을 도울 수 있다고 하는데,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향사랑기부제 주요 내용① 누가 기부할 수 있나?개인만 가능 (법인은 기부할 수 없음)본인이 거주하는 거주지(광역+지자체)에는 기부 불가 ② 기부할 수 있는 금액 한도2025년부터 개인당 연간 최대 2,000만 원까지 기부 가능(2024년까지는 500만원)10만 원 이하 기부 시 전액 세액공제10만 원 초과분은 1..